[조각글] 일기장

[조각글] 독립 첫걸음

Anping 2022. 11. 1. 14:19
728x90
반응형



친척들이 나를 부르던 아명이 있다.
시간이 꽤 흘렀는데도 여전히 나는 아명으로 불리고 있고, 또 그렇게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O남' 셋째 아들을 낳길 바라는 흔한 이유였다. 장손으로 대를 이어야 하는 그 세대의 끝에서 나는 둘째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께서 지어주신 촌스러웠던 아명이 호적으로 올라가진 않았지만, 현재 내 무난한 이름도 별 다를게 없다. 이름에 잘 쓰지 않는 내 이름 속 한자를 예전엔 특별하다고 착각했다. 언니는 '영글어라', 아들은 철학관에서 귀히 지어준 이름, 나는 '지혜를 이어라' 즉 대를 이어라는 의미의 이름. 시작부터 내 존재는 그리 환영받지 못했었나보다. 남자아이로 태어나지 못해 다음은 꼭 아들을 태어나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존재였지, 오직 내가 잘 살길 바라며 지어준 이름이 아니었다는게 요즘은 참 서럽다. 그걸 다른 사람 앞에서 재미인냥 말하는 부모는 내 마음을 한톨도 생각하지 않는구나 슬펐다. 최근엔 한자만 개명할까 진지하게 고민도 했다. 나라도 내가 잘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해주고 싶었으니까.


나는 이름대로 살아졌다.
물질적으로 부족하지 않게 따순밥 잘 먹고 따뜻하게 잘 입으며 나름 갖고싶은거 다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집에서 자랐다. 간사하게 사람은 늘 상대적이고 자기중심적이게 생각한다. 자꾸 내가 채우지 못한 부족한 것들을 주변과 비교하게 된다. 근데 유학을 다녀온 언니, 나보다 많은 용돈을 받으며 자라온 동생은 그때일 뿐, 그닥 부럽지 않았다.
언제나 모난데 없이 행동해야하는 자식, 손녀, 조카여야만 하는게 날 힘들게 만들었다. 늘 존재감 없던 내 모습이 결론적으론 자존심 세우고 남 헐뜻는게 취미인 친척들 사이에선 어쩐지 승자인 것 같지만, 어릴적 친척들이 날 쏙 빼놓고 챙겨주는 행동하며 있는 사람 취급도 해 주지 않는 것 같은게 서러웠다. 대놓고 반항하면 속으론 다들 '그러면 네가 아들로 태어났어야지'할까봐 두려웠었다. 조그만 흠, 고집을 부려도 부모마저 나를 그저 '네가 누나니까, 네가 동생이니까, 넌 왜그러니'하고 무시하거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주진 못했었으니까. 일방적인 이해를 해야만 하는 존재였으니까.
나는 잘 되야만 하는 사람이었다. 잘 해야만 하는 사람이었다. 과정을 인정받지 못하는게 분하면서도 결과중심적인 사람이 되었다. 부모님과 사회 기준에선 세남매 중 내가 제일 잘났고 말 잘들었지만(사실 고집이 세서 말을 잘 들었다기보단, 혼낼 짓을 안한 게 맞다), 나는 고작 남들보다 잘만 해야했다.





같은 부모 밑에서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해왔던 세남매는 비슷하면서 다른 모습을 보였다. 각자의 고충, 성격에 따라 받아들이는 형태, 주변 환경, 적성 그 모든게 달랐기 때문이다. 사사로이 가정사를 다 밝힐 순 없지만 결론적으로 나는 '회피'했다. 독립을 선택한 것이다. 가족 간 일련의 사건을 겪으며 20년을 함께 살아도 남보다 솔직하지 못하고, 서로를 잘 모르고, 내 가족이라 더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어떤 관계든 나만 잘해서, 남만 잘해서 나아질 순 없었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내 못난 모습도 이유없이 받아들여줘야하고 배려없는 행동을 할 수 있다. 나도 그런 행동을하는 딸, 동생, 누나였을지도 모른다. 다만 나는 노력할수록, 내가 해줄 수 없는 것이 더 많아졌다. 반면 그들은 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지 못했다, 그런 노력조차 보여주지 않았다.


가족에서 나는 갈등을 일으키는 사람이 아닌, 주로 갈등을 조율하는 사람이었다.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내게 서로에게 서운한점, 자신의 입장을 털어놨고, 여러 입장을 들은 나는 최대한 원만하게 해결하거나 전달해주려 했었다. 노력이 무색하게 점차 나는 이용도구가 되었었다. 솔직함 대신 거짓말로 이간질하고, 상대의 헛점을 나를 통해 찾아내려하고, 중립적인 내 태도에 비난을 하기도 했다. 뻔히 그 의도를 알면서 모르는 척하려면 누군가의 편을 들 수밖에 없다는 사실과 답이 없는 해결방안을 끊임없이 찾는 과정에서 가슴이 아프고 숨쉬기가 힘들어졌었다. 공황장애 초기 증상이었다. 그때, 그리고 지금 어느 책의 한 구절을 읽고 깨달았다.


'사실 자녀가 부모를 바라보는 시각과 배우자가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은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부모의 시각으로 자신의 부모를 바라봄으로써 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아빠와 엄마는 서로를 정말로 싫어하고 어쩔 수 없이 사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서윤 씨가 모르는 둘만의 감정이 있었습니다.'

' 정말 부부 관계는 아무도 모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부모의 갈등이 자녀에게 다양한 오해를 낳고, 자녀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나를 잃어가면서 지켜야 할 관계는 없다, 이지영]



부모님 간의 이야기, 부모와 형제들과의 관계는 나의 관계는 내가 알지 못하고 대신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갈등의 해결은 문제 당사자들만이 해결할 수 있고, 그들의 감정해소만으로 끝날 수 있다는 것. 결국 내가 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내 노력은 도움이 하등 도움이 되지 않았다. 감정쓰레기통이었을 뿐이라는 것을 깨닫자 억울함이나 슬픔이 아닌 '자유'를 느낄 수 있었다. 변하려고 하지 않는 가족에서 나만 변한다고 감정을 의연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란 어렵다. 차라리 보지 말자. 듣지 말자. 단호하게 주변 가족에게 '각자 갈등을 내가 알면 신경을 많이 쓰는데, 해결을 해줄 수 없으니 말하지 말아달라' 단호히 부탁했지만 '신경 안써도 된다'며 전과 계속 같았었다. <휩쓸리지 않도록 나는 혼자 살아야겠다>




독립을 생각했던 것은 위 사건이 일어나기 전부터 은연 중에 계속 계획하고 다짐해왔던 것이었다. 대학시절 철이 조금 들 때부터였었나, 장학금 받아 기숙사-안정적인 직장과 결혼-...- 부모가 원하는 길을 가서 자랑거리가 되야하고(개개인의 성향과 관계없이 그렇지 못하면 비난받고), 받은만큼 돌려받고자 했던 모습을 보며 울타리는 없지만 목줄이 매인 것 같은 사람같다는 생각을 했었다. '용돈을 줄테니 공부 열심히 해서 장학금을 받아라', 족쇄같은 말이었다. 장학금을 받지 못하면, 근데 용돈은 받는다면, 마음의 부채가 쌓였다. 최대한 손 벌리지 않고 살았다. (물론 남매 중에서. 상대적인 의미) 국립대, 3년 전액장학금, 기숙사... 목줄을 끊기 위해선 독립을 해야하고, 돈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특히 여유없는 생활에 목돈을 가져보는게 소원이었던 것 같다. 3만원 5만원 적금을 들고 깨고 다시 들고, 알바를 하고 직장을 다니고, 어쨋든 가족의 도움을 받아가며 돈을 모았다. 취업공부를 하려고 타지역에서 살겠다는 핑계로, 독립 첫걸음을 내딛었다. 길었던 꿈 하나를 이뤘다.



완전한 독립이 아닐지도 모른다. 다시 되돌아갈 수도 있다. 그 따뜻한 품은 주기적으로 찾고 있으니까. 든든한 나의 부모과 가족. 하지만 이 생활이 가장 행복하다는 것은 변함없을 것이다.
얼마전 또 하나의 꿈이 생겼다. 집 한채를 갖고 싶다. 어떤 곳에 내가 살아도 다시 되돌아갈 수 있는, 내 짐이 있고 손길이 묻어있을 편안한 내 평생의 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