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nping 안핑뚱이입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농축협 근무 만 2년, 햇수로 3년차에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짬만 찬 실력없는 직원이지만 당분간은 막내니까 그러려니 합니다.
작년에 은행FP를 취득했고, 올해도 새로운 자격증 취득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직장인으로서 자격증을 따다보면
'시간이 정말 부족하구나'
'돈이 이렇게 많이 들었나?'
새삼 취준생 시절에 교재비와 응시비를 어떻게 감당해왔을까 생각이 듭니다.
돈 버는 입장에서도 비용이 만만찮다고 느껴지니까요.
올해는 회계세무 자격증에도 도전하고
이전부터 관심있었던 지게차운전기능사 (3톤 미만/ 이상)를 준비하려고 합니다 !
21-22년도 경제사업장에서 근무할 때, 회사지원으로 지게차 자격증 딸 수 있었으나, 당시 코로나로 2종보통 면허로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임시적으로 중단되어... 1종 보통 면허 준비하다가 퇴사하며 흐지부지 됐었습니다.
최근 생각이나 찾아보니 이전처럼 2종보통면허 취득이 가능했는데요,
다만 운전한지 오래되었고, 실습할 곳도 없었고, 금액적으로 부담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재직자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해 지게차운정기능사를 취득하기로 결심합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란?
출처: 고용24
[개요]
취업이나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훈련 비용을 5년간 300만원~500만원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지원내용]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경우 훈련비(=수강료)를 훈련의 종류, 취업률, 소득수준 등에 따라 지원함.
· 훈련비(수강료) 지원액: 5년간 300만원+ 200만원 추가 지원
* 통상 15~15% 본인 부담.
* 고용형태, 취약계층 여부 등에 따라 200만원 추가 지원 가능
( 200만원 추가 : 기간제·파견·단시간·일용근로자로 재직중인 피보험자,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 출소예정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자립준비청년, 한부모가족해당자, 북한이탈주민, 아프간 특별기여자,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른 가정밖 청소년)
· 카드 유효기간: 5년 (이후 잔액은 모두 사라지므로, 이후에도 훈련이 필요하다면 카드 재발급)
· 훈련장려금 :안정적인 직장이 없고 140시간 이상 교육/훈련을 받는 경우에는 매월 훈련장려금도 지급함.
* 단 출석률이 80% 미만이거나 실업급여를 받고 있다면 지급되지 않음.
[지원자격]
업무 능력을 키우고 싶다면 누구나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무원, 고소득자, 부정수급자 등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발급받으실 수 없습니다.
‧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 제외 대상:
-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 75세 이상인 사람
- 대규모 기업 근로자(500인이상)로서, 월 임금 300만원 이상이고, 만 45세 미만인 사람
-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
*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란?
사업주와 도급(위탁) 계약을 하고 근로자와 유사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보험모집인, 건설기계 소유 기사, 학습지 교사, 골프장 캐디, 택배 기사, 퀵서비스 기사, 대리운전 기사, 대출 모집인, 신용카드 회원 모집인, 방문 판매원, 강사, 기타 프리랜서 등을 말합니다.
- 사업 기간이 1년 미만 이거나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법인대표
- 사업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연 매출 4억 이상의 자영업자
-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비영리단체 대표
- 졸업까지 남은 수업연한이 2년 이상인 대학/대학원 재학생, 고등학교 1~2학년생
- 생계급여를 받고 있는 사람(조건부 수급자 또는 조건부과 유예자는 지원 가능)
- 다른 부처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교육/훈련비를 지원받고 있는 사람
- 지원·융자·수강제한 기간인 부정수급자
- 부정행위에 따른 지원금을 반환하지 않은 사람
- 기타 지원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 사람
[지원절차]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부터 수강 신청까지 모두 온라인으로 가능
- 일자리가 없는 상태에서 카드를 신청하려면 사전에 고용24에 구직 신청이 필요함.
- 재직자(육아휴직 등 휴직자 포함),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 이미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은 원칙적으로 구직 신청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장기간이 소요되는 일부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현재 일을 하고 있더라도 구직 신청을 해야 합니다.
‧ 구직 신청이 필요한 훈련 종류:
-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K-디지털 트레이닝
- 일반고 특화훈련
- 돌봄 특화훈련
취준생과 직장인과 실업자의 친구
HRD net 홈페이지에 접속하니, 이제 고용24로 통합운영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work24.go.kr/cm/z/b/0210/openLginPage.do?loginMessage=3&forwardUrl=/hr/h/a/1100/selectIssueRequestPost.do
로그인 시, 기존 사용하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니
간편인증 /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중 1개로 로그인을 하라고 합니다.

1. 신청자격확인
꼼꼼히 읽어보고, 예 - 아니오를 체크합니다.
보통은 '아니오'지만 타 구직지원을 받는 경우는 주의해서 체크해주세요
2. 권리 및 의무사항
교육을 듣는 동안 교육생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명시해 놓습니다.
3. 발급신청서 작성
개인정보 작성해주시고, 지원대상 정보에는 지금 제가 재직 중인 회사 정보가 자동으로 뜹니다... !
이때 실업자가 아닌 재직자로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
또 여기서 중요한 것은
회사정보와 함께 재직직원수와 "우선지원기업 대상자"라고 표기됩니다.

찾아보니 우선지원대상기업이라고 국민내일배움지원금이 더 많아지는것은 아니지만,
대상기업이면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농축협의 경우 비영리기업, 다양한 재직인원 수와 규모, 경제 금융 사업의 비율 등으로 연말정산 중소기업이 되기 힘듦니다.
하지만 모든 지점이 한 법인인 농협은행은 직원 200명이상 초과로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이 어려우나,
농축협은 조합별로 각각의 법인의 형태이고, 대부분 100-200인 이상이 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대상이 된다는 뜻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2019년도에 만든 내일배움카드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으므로 '신규발급'
내일배움카드 종류는
1. 농협카드 : 체크 / 신용
2. 신한카드 : 체크 (FANTASTIC S, 카카오페이무지) / 신용(SIMPLE)
중 선택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고용24 홈페이지에서 카드사와 체크/신용을 선택해주면 등록된 번호로 카드 발급 링크를 보내줍니다.
농축협 직원이지만 신한카드 체크(?)로 발급해주고
저는 직장인이기 때문에 모바일 신청 후 회사로 수령 선택했습니다.
회사 주소는 나중에 카드 신청 시 다시 기입합니다!
카드발급링크는 신청 시 1회만 받을 수 있고, 재발송을 원하면 60일 이후 가능하더군요...
하필 신한카드 문자를 차단해둔 상태라 문자를 받지 못해 당황했으나,
신한 SUPER SOL어플이나 신한카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그냥 온라인 발급신청하면 됩니다!
모바일 발급 신청 시, 꼭 발급신청 전에 카드사 번호가 차단되어있는지 확인하세요.

+다행이 다음 영업일에 문자로 들어왔습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국민 아무나 발급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니라, 승인대상자만이 발급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때문에 농협에서도 대상자 증명서를 가지고 오면 발급해드리고 있습니다. 없어도 발급신청은 될지 언정, 포인트가 지급되지 않거나 발급 심사에서 부적격 뜰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농협은행 방문 시 카드 즉시발급이 가능한 곳이 있지만, 농축협은 무조건 센터발급을 하니 수령까지 몇 일 걸릴 수 있습니다.)


고용지원센터에 방문해서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확인서를 발급받을 경우,
담당자가 신청자 요건 확인 후, 본인의 이름을 넣어 발급합니다.
단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적격자일 경우, 자동으로 승인신청이 되어 발급확인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 적격 정보가 하루 이틀 내 카드사로 전송되어, 이를 확인 후 카드사가 발급 승인을 해주는 것 같습니다)

신한카드의 경우 결제은행을 신한/우리/국민/하나/기업/농협/제일/우체국 중 선택가능하며,
농협카드의 경우 결제은행을 농협은행/농축협 만 선택가능합니다.
비료 터트리던게 일상이던 제가...
지게차를 몰 수 있을까요...?
'[정보] 유용한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가계부] 만 2.8년 근무 사회초년생 자산현황 파악하기 (0) | 2025.02.22 |
---|---|
[직장인 가계부] 만 2년 근무 사회초년생 자산현황 파악하기 (4) | 2024.08.18 |
[농협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 청약주택드림청약통장 전환 후기 (1) | 2024.04.10 |
[아동권리보장원] 디딤씨앗통장 후원 (0) | 2023.09.28 |
[2023 양지사 하이플랜16 다이어리] 그 외 일기장을 곁들인... (0) | 2023.01.04 |